직장인들의 경우 과도한 업무, 승진, 대인관계 등으로 항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.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
혹은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자연스럽게 회식자리를 갖게 되며, 회식에서 섭취한 음식과 술은 비만이나
기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. 음식과 술은 도대체 아빠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?
- 술에 함유되어 있는 알코올은 1g당 7kcal 열량을 공급함
- 술은 높은 열량과는 달리 영양소는 거의 없어, ‘empty calorie food’라고 불림
- 알코올의 흡수 장소는 위이며, 대사는 간에서 이루어짐
- 알코올 흡수 촉진 인자: 위가 비어 있을 때, 탄산음료와 함께 섭취 시, 술의 알코올 농도가 높을 때, 체중이 적게 나갈 때,
동일 체중이라도 체지방 함량이 높을 때 등
- 알코올 흡수 저해 인자: 위가 채워져 있을 때, 체중이 많이 나갈 때, 동일 체중이라도 근육이 많을 때 등
- 알코올의 과다 섭취는 간에 부담을 초래할 수 있음
- 뇌와 중추신경계: 판단력 변화, 억제력 저하 등
- 상부 위장관(위): 위산 분비 자극, 구토, 역류성식도염, 위염, 궤양 가능성 증가 등
- 하부 위장관(장): 위장관 운동성 저하
- 심순환기계: 고혈압 및 심근경색 발생 증가, 심장박동 변화 등
- 간: 간세포에 독성 작용, 영양소와 약물 대사 변화, 영양소 저장능력 손상 등
- 췌장: 췌장세포에 독성 작용, 췌장호르몬 분비 변화, 제2형 당뇨병 위험 증가 등
- 술 1잔은 대략 55~100kcal의 열량을 냄
- 종류별 술의 열량은 해당 술의 알코올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음
알코올 함량(g)= 술의 양(ml)×알코올 도수
예) 25% 소주 1병(360ml) 섭취시
360ml×0.25=90g 알코올 섭취
90×7=630kcal 열량 섭취
예) 5% 맥주 1캔(355ml) 섭취시
355ml×0.05=17.8g 알코올 섭취
17.8×7≒125kcal 열량 섭취
- 알코올 도수가 높을수록 1잔당 열량 공급량이 높을 수 있으나, 술 종류별 1회 섭취량은 다름(술 종류별 열량 표 참고)
- 따라서 술로 인한 열량 섭취를 줄이려면 알코올 도수가 낮은 주종을 선택하고, 과량 섭취하지 말아야 함
<표> 술 종류별 열량
종류 | 포장단위 당 용량(ml) | 알코올 도수(%) | 1회 섭취분량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중량(g) | 목측량 | 열량(kcal) | |||
막걸리 | 750/병 | 6 | 400 | 1대접 | 224 |
맥주 | 355/캔 | 4.5 | 355 | 1캔 | 131 |
소주 | 360/병 | 25 | 45 | 1잔 | 80 |
포도주(적) | 750/병 | 12 | 65 | 1잔 | 62 |
청주 | 300/병 | 16 | 45 | 1잔 | 60 |
출처: 농촌진흥청,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. 1회 분량으로 보는 소비자가 알기 쉬운 식품영양가표, 교문사, 2013
- 직장인 남성이 선호하는 회식 메뉴로 ‘삼겹살과 소주’, ‘치킨과 맥주’ 등이 있음
- 음주 시 함께 먹는 안주는 대부분 열량, 지방 및 나트륨의 함유량이 높은 음식임
(회식메뉴 1회 섭취분량 당 영양소 함량 표 참고)
- 우리나라 직장인 남성들의 경우 늦은 시간의 잦은 회식과 고열량 메뉴의 섭취로 인해
비만(복부비만), 고지혈증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
<표> 회식메뉴 1회 섭취분량 당 영양소 함량
1회 분량 (ml) | 열량 (kcal) | 지질 (g) | 콜레스테롤 (mg) | 나트륨 (mg) |
|
---|---|---|---|---|---|
삼겹살구이 | 150 | 407 (17.0%)* | 30.8 (61.7%) | 50.2 (16.7%) | 511.8 (25.6%) |
닭튀김 | 175 | 347 (14.5%) | 22.0 (44.1%) | 139.8 (46.6%) | 682.3 (34.1%) |
소등심구이 | 150 | 561 (23.4%) | 47.0 (94.1%) | 103.9 (34.6%) | 682.9 (34.1%) |
갈비구이 | 150 | 443 (18.5%) | 32.7 (65.3%) | 86.3 (28.8%) | 815.8 (40.8%) |
족발 | 100 | 106 (4.4%) | 6.5 (13.1%) | 20.4 (6.8%) | 147.7 (7.4%) |
탕수육 | 150 | 186 (7.8%) | 7.0 (14.0%) | 51.8 (17.3%) | 278.8 (13.9%) |
감자탕 | 300 | 84 (3.5%) | 1.7 (3.3%) | 12.7 (4.2%) | 348.2 (17.4%) |
출처: 농촌진흥청,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. 1회 분량으로 보는 소비자가 알기 쉬운 식품영양가표, 교문사, 2013
* 1일 영양소 섭취기준치에 대한 비율
- 선호하는 회식메뉴와 술을 함께 섭취 시 열량을 보면(술과 안주 세트별 열량 표 참고), 예를 들어 삼겹살 1인분(150g)과
소주 1병(360ml)을 함께 먹었을 때, 열량은 약 1000kcal(삼겹살구이 400kcal, 소주 640kcal) 섭취하게 됨.
이는 한국 남성이 1일 필요한 열량인 2400kcal의 40%를 넘는 수준임
<표> 술과 안주 세트별 열량
세트 | 분량 | 열량 (kcal) | 지방 (g) | 콜레스테롤 (mg) | 나트륨 (mg) |
---|---|---|---|---|---|
치킨+맥주 | 치킨 1인분(175ml)+맥주 1캔(355ml) | 478 | 22.0 | 139.8 | 700.1 |
과일+맥주 | 모듬 과일 (딸기 1/2인분 45g+바나나 25g) +맥주 1캔(355ml) | 170 | 0.1 | - | 30.8 |
오징어+땅콩 +맥주 | 마른 오징어(10g)+ 땅콩(5g)+ 맥주 1캔(355ml) | 205 | 3.1 | 94.5 | 116.0 |
삼겹살+소주 | 삼겹살 구이(150ml) +소주 1병(360ml) | 1047 | 30.8 | 50.2 | 511.8 |
감자탕+소주 | 감자탕(300ml) +소주 1병(360ml) | 724 | 1.7 | 12.7 | 348.2 |
출처: 농촌진흥청,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. 1회 분량으로 보는 소비자가 알기 쉬운 식품영양가표, 교문사, 2013
- 장기간에 걸친 알코올의 과다 섭취는 지방간, 간염, 간경변증을 유발함
- 만성 과음자 중 약 90%에서 지방간, 약 10~35%에서 알코올성 간염, 그 중 10~20%는 간경화증으로 발전할 수 있음
- 매일 과음을 하는 사람이 가끔씩 폭음을 하는 사람보다 간경화증에 걸릴 확률이 높음
- 알코올과 함께 섭취하게 되는 안주는 고열량, 고지방 함유 식품(예, 삼겹살, 치킨 등)인 경우가 많음
- 알코올은 우리 몸에서 지방을 많이 만드는 것은 촉진하고, 체지방이 연소되는 것은 저해하여,
과다 섭취 시 비만이 될 수 있음
- 적당한 음주량 : 남자 하루 2잔 이하
◦ 1잔이란?
- 각각의 술을 마시는 잔으로 소주는 소주잔 1잔, 맥주는 맥주잔 1잔(또는 1캔),
포도주는 포도주잔 1잔, 위스키는 위스키잔 1잔 정도로 약 12~14g의 알코올을 함유한 양
- 음주 시 과음하지 말며, 간 기능의 회복을 위해 다음 음주는 음주한 날로부터 3일 쯤 후에 함
- 알코올 흡수율을 고려하여 천천히 마심
- 공복 시 지나친 음주는 피하고 양질의 단백질과 싱싱한 채소, 과일류를 안주로 곁들이고 식사를 거르지 않음
- 여러 종류의 술을 마시거나 여러 번 자리를 옮겨 음주할 경우에는 알코올 농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높은 순서로 마시고,
한꺼번에 섞어서 마시는 폭탄주는 마시지 않음
- 음주 시에는 흡연을 삼가 함
- 알코올의 흡수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비타민, 무기질이 풍부한 채소나 과일을 함께 섭취함
- 단백질과 비타민 C, 당분 함량이 많은 음식을 섭취함
- 아스파라긴산은 알코올 분해산물을 제거하는데, 뿌리째 끓인 콩나물국은 아스파라긴산의 함량이 높아 숙취 후
섭취하는 것이 좋음
- 물을 많이 마심
- 미지근한 물에 목욕함
COPYRIGHT 2015 대한지역사회영약학회. ALL RIGHT RESERVED
CONTACT TO JSSEO eyu.AC.KR FOR MORE INFORMATI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