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우리나라 30~40대 직장 남성의 경우 음료 및 주류의 섭취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은 편임
- 음료는 바쁜 직장 생활 가운데 쉽고 빠르게 섭취할 수 있는 간식으로,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
빈번하게 섭취하고 있음
- 주되게 섭취하는 음료로는 커피, 녹차, 탄산음료, 에너지음료, 기능성음료 등이 있음
- 커피의 경우 커피믹스, 인스턴트 커피분말, 커피침출액(원두), 커피음료 등 다양하게 섭취하고 있는데, 커피 침출액에
시럽을 추가하거나, 우유 또는 생크림 등을 추가하여 다양한 형태(예, 카페라떼, 카페모카 등)로 음용하고 있음
- 커피믹스의 경우 1일 3잔 섭취 시, 밥 1/2공기에 해당하는 열량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잦은 섭취는 바람직하지 않음
- 커피침출액(원두)도 1잔당 열량은 높지 않으나, 시럽(파우더)을 추가하거나 생크림이나 우유 등을
추가(예, 카페모카, 카라멜마끼야또 등)할 경우 열량 및 당의 함량이 높아질 수 있음
- 특히 당의 섭취가 과다할 경우 이상지질혈증 증가, 장기능 손상, 비만의 증가, 체내 산화스트레스 증가 등의
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음
<표> 커피 종류별 1회 섭취분량 당 열량 함량
종류 | 1회 분량 | 열량(kcal) | 종류 | 1회 분량 | 열량(kcal) |
---|
커피믹스 | 12g | 47 |
커피분말(인스턴트) | 3 | 12 |
커피음료 | 185 | 48 |
커피침출액(원두) | 190 | 8 |
카페라떼 | 237 | 110 |
카푸치노 | 237 | 90 |
카라멜마끼야또 | 237 | 140 |
카페모카 | 237 | 200 |
화이트초콜릿모카 | 237 | 270 |
출처: 농촌진흥청,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. 1회 분량으로 보는 소비자가 알기 쉬운 식품영양가표, 교문사,
2013. 대한당뇨병학회, 당뇨병 식품교환표 활용지침, 2010
- 직장인들의 과다한 음료 섭취로 인하여 카페인의 섭취가 증가될 수 있음
- 커피 이외에도 콜라, 녹차, 에너지음료 등이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음
-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카페인 하루 권장 섭취량은 성인 400mg 이하이며,
이를 고려하여 카페인의 섭취를 적절히 줄여야 함
<표> 음료 1회 제공량 당 카페인 함량
|
조제커피(믹스) | 8.4~124.2 | 47.5 |
액상커피 커피음료 | 38.2~156.3 | 84.4 |
커피침출액 | 42.8~168.4 | 112.1 |
콜라(250ml) | - | 23 |
녹차(티백1개) | - | 15 |
에너지음료(250ml) | - | 62.5 |
커피음료: 캔커피 등의 음료. 커피침출액: 커피전문점 커피, 캡슐커피 등
출처: 식약처 보도자료, 2013
- 특정한 종류의 음료를 섭취하기 보다는 물 자체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
- 커피 섭취 시 시럽이나 파우더, 생크림 등을 제외한 원두침출액 자체로 섭취하는 것이 열량이나 당의 과다 공급을 막는데
바람직함
- 기타 에너지음료나 탄산음료보다 녹차의 경우 카페인 함량도 적으며, 카테킨 등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장점이
있음
COPYRIGHT 2015 대한지역사회영약학회. ALL RIGHT RESERVED
CONTACT TO JSSEO eyu.AC.KR FOR MORE INFORMATI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