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새로운 식품의 맛과 냄새, 혀의 촉각 등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
- 먹는 일을 강요당하거나 구토, 복통 등 불쾌한 경험이 있는 경우
- 동물에 대한 동정심
- 불만을 음식의 섭취를 거부하는 것으로 표현하기도 함
- 이유기 때 다양한 음식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
- 이유 방법이 잘못 된 경우
- 불규칙한 간식 습관이 있는 경우
- 식사의 구성이 잘 못 되었을 경우
- 부모 또는 가족 중에 편식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
- 식사 중에 간섭이 너무 심하거나 과잉보호를 받은 경우
- 성인의 식행동이 큰 영향을 주므로 부모, 선생님 등 주위사람의 올바른 식습관 실천하기 및 지도
- 불규칙적인 식사로 인한 식사시간의 간격이 길어져 공복감이 심해지면 기호에 맞거나 눈에 띄는 것,
쉽게 구할 수 있는 것 위주로 선택하게 되므로 따라서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도록 함
- 새로운 음식을 줄 때는 무조건 권하지 말고 음식을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줌
- 함께 장을 보거나, 식품의 생산과정에 대한 체험학습, 조리 참여 등을 통하여 편식하는 음식에 대한 친숙해 지도록 함
- 지나친 간식이나 식사간격의 단축은 만복감으로 인해 식욕저하를 일으켜 다양한 식품의 섭취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
적절한 간식량 및 횟수 조절
- TV 시청은 식사와 식사 사이의 간식 빈도를 높이며, 어린이 TV 시청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방송되는 스낵이나
아이스크림 등의 광고는 고열량, 고지방식품의 섭취를 유도하므로 TV시청 습관이나 시간을 조절 함
- 새로운 음식의 맛을 보거나 먹기 시작하면 그 음식이 왜 좋은지 설명하고 칭찬 등의 긍정적인 보상을 줌
- 조리법, 식기 등에 변화를 줌
- 알레르기 등의 원인이 있어 특정 식품의 섭취를 기피하는 경우 대체식품을 섭취하도록 함
- 식사 분위기를 즐겁고 밝게 함
COPYRIGHT 2015 대한지역사회영약학회. ALL RIGHT RESERVED
CONTACT TO JSSEO eyu.AC.KR FOR MORE INFORMATION